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지역사회 복지론 요약 레포트

by 레이나김 2024. 7. 25.
728x90
반응형

제1장: 지역사회복지의 이해

1. 지역사회의 개념 (Ross)
- 지리적 의미: 지역사회는 지리적 공간과 행정구역을 의미한다.
- 기능적 의미: 사회적, 문화적 동질성과 공동의 관심사를 포함한다.

2. 지역사회의 유형
- 퇴니스
  - 공동사회: 혈연가족, 친구 등을 포함한다.
  - 이익사: 이익을 기반으로 한 사회이다.
- 튀르겜
  - 기계적 연대사회: 전통사회에서 나타난다.
  - 유기적 연대사회: 산업사회에서 나타난다.
- 던햄: 인구크기, 인구구성, 경제적 기반, 행정구역, 기능에 따라 지역사회를 유형화한다.

3. 지역사회의 기능
- 생산, 분배, 소비의 기능
- 사회화 기능
- 사회통제 기능: 법률, 도덕, 관습, 교육, 신앙 등을 통해 사회의 규범에 순응하도록 하는 기능이다.
- 사회통합 기능
- 상부상조 기능

제2장: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 복지실천의 이해

1. 지역사회복지의 이념
- 정상화: 1959년 덴마크 정신지체법에서 시작된 개념으로, 지역사회로의 아동 환원을 지향한다.
- 사회통합: 사회계층 간의 격차를 줄이고 불평등을 해소하여 삶의 질을 제고한다.
- 탈시설화: 시설을 소규모화하고, 시설보호를 폐쇄적 체제에서 개방적 체제로 전환한다.
- 주민참여: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강조한다.
- 네트워크화: 사회적 인간관계의 조직화를 의미한다.

2. 지역사회복지 실천원칙
- 1차적인 클라이언트는 지역사회이다.
- 지역사회를 있는 그대로 이해하고 수용해야 한다.
- 지역사회는 자기결정의 원리를 가지므로 강요해서는 안 된다.
- 사업 구조는 단순해야 한다.
- 지역주민의 욕구를 우선적으로 충족시킨다.
- 다양한 계층의 적극적인 참여를 목표로 한다.

3. 지역사회복지의 가치
- 자기결정과 임파워먼트 획득
- 다양성과 문화적 이해
- 비판의식 개발
- 사회정의 실현
- 상호학습

제3장: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(영국, 미국, 한국)

1. 영국의 지역사회복지
- 지역사회복지의 기원 (1800~1950년대 초): 인보관운동과 자선조직협회가 있다.
-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(1950~1960년대 후반)
- 지역사회보호의 형성기 (1960~1980년대 후반): 시봄보고서 (1968)
- 지역사회보호의 발전기 (1980년대 후반~현재): 그린피스보고서 (1986)

2. 미국의 지역사회복지
- 자선조직협회 운동시기 (1865~1914)
-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 (1914~1929)
-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 (1926~1954): 대공황과 1935년 사회보장법
- 지역사회조직 정착시기 (1954~현재): 빈곤과의 전쟁, 보수주의의 회귀

 3. 한국의 지역사회복지
-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: 두레, 향약, 계, 품앗이, 사창 등의 부락협동
- 근대 이후: 1952년 카바, 1970년 새마을운동, 1980년대 재가복지서비스 도입, 1992년 사회복지공동 모금회법 제정 등

 제4장: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 이해

 1. 사회체계이론
- 지역사회를 하나의 체계로 간주하고, 지역사회와 환경의 관계를 설명한다.

2. 생태학이론
- 인간이 환경의 요소들과 끊임없이 상호작용하며 적응하고 진화한다는 견해를 바탕으로 한다.

 3. 기능이론
- 사회구성원들이 공동체 의식을 가지고 사회체계를 유지하기 위해 변화한다고 본다.

 4. 갈등이론
- 지역사회 내의 각 계층이 이해관계에 의해 형성되고, 갈등을 통해 지역사회복지를 증진한다는 관점이다.

5. 자원동원론과 교환이론
- 사회운동의 성패는 조직원 충원과 자금조달, 적절한 조직구조 개발에 달려 있다.

6. 사회구성론
- 개인이 처한 사회문화적 맥락에 따라 현실의 문제나 상황을 구성 또는 재구성할 수 있다고 본다.

7. 권력의존이론
- 사회복지조직들은 생존을 위해 외부 재정적 지원에 의존할 수밖에 없다는 전제에서 출발한다.

 8. 사회자본이론
- 시민참여, 사회적 연대, 상호혜택을 위한 협동을 강조한다.

 9. 다원주의 이론
- 현대 사회에서 개개인은 특정 목표를 중심으로 여러 집단과 조직을 구성하여 이익을 표출하고, 정책과정에 영향을 미친다.
 제5장: 지역사회 복지실천의 모델

1. 로스만의 모델
- 지역사회개발모델: 주민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행동에 참여하는 자조기반 모델
- 사회계획모델: 기술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
- 사회행동모델: 자원과 권력 배분의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갈등론적 시각을 가진 모델

 2. 웨일과 갬들의 모델
- 근린 지역사회조직: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사회 조직화에 초점을 둔다.
- 기능적 지역사회조직: 이해관계를 기초로 한 지역사회 조직이다.
-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개발: 지역주민의 관점에 입각한 개발계획을 주도한다.
- 사회계획: 서비스 관계망을 계획하고 조정한다.
- 프로그램개발과 지역사회 연결: 지역사회서비스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관 프로그램을 확장한다.
- 연합:분리된 집단 및 조직을 집합적인 사회변화에 동참시킨다.
- 사회운동: 바람직한 사회변화를 목표로 새로운 비전과 이미지를 창출하는 조직과 지도자가 구성원이 된다.

제6장: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

1. 문제해결과정
- 문제정의 및 확인 → 지역사회 욕구사정 → 실천계획수립 → 자원동원 → 실행

2. 자료수집방법
- 공식적 인터뷰: 자료수집 과정에서 신뢰도와 일관성을 높인다.
- 비공식적 인터뷰: 사전 준비 없이 진행된다.
- 민속학적 방법: 조사자의 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함께 사용한다.
- 지역사회포럼: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.
- 공청회: 주로 정부 사업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다.
- 명목집단기법: 응답자들이 의견을 제시하고 투표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한다.
- 초점집단기법: 6~8명을 선택하여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을 토론한다.
- 델파이기법: 전문가 중심의 주요 정보 제공자를 활용한다.

제7장: 사회복지사의 역할

1. 지역사회개발모델
- 안내자: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설정과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.
- 조력자: 불만을 집약하고 조직화를 격려한다.
- 사회치료자: 진단과 이해를 도와준다.
- 분석가: 사회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다.
- 계획가: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과 과정을 계획한다.
- 조직가: 지역사회 내 집단이나 단체를 참여시킨다.
- 행정가: 자원을 관리한다.

728x90